-
2022년 한국경제 산업별 전망, 반도체, 철강, 자동차, 조선, 유통상식꿀팁 2021. 12. 23. 08:00
각 연구소별 2022년 산업전망의 주요내용을 정리 요약해드립니다.
1. 반도체
수출호조 속 변동성 확대 가능성
K-반도체 전략 등 정책적 지원 확대와 5세대 이동통신, 전기자동차, 스마트폰 등 전방산업의 수요 지속이 예상됩니다.
수출 호조세가 유지되는 가운데 글로벌 경쟁심화, 메모리 반도체 가격 조정 등 변동성이 확대될 예정입니다.
※ 2021년 9월 수출 121억8천만 달러로, 2021년 최고 수출 실적을 기록하며 15개월 연속 증가함
2. 자동차
국내외 생산량 회복세, 친환경 전환 가속화
미국과 유럽 중심의 글로벌 수요가 증가해 국내외 생산량의 회복세가 기대됩니다. 또한 환경 규제강화, 친환경 자동차 보급 정책 확대, 충전 인프라 확충등과 함께 친환경 중심의 산업 생태계로의 전환이 더욱 가속화 될 전망입니다.
3. 철강
수요증가 예상되나 수익성 하락우려
선진국 인프라 투자와 전방산업의 경기 회복으로 글로벌 수요량이 증가할 전망입니다. 반면, 중국 감산정책 기조변경, 원자재(철광석) 가격 조정 이슈에 따라 중장기적인 수익성 하락이 우려됩니다.
4. 조선
발주회복 불구, 채산성 악화우려
조선 산업은 원유, 액화천연가스 등 대형 에너지 운반선, 친환경 선박 중심의 발주 회복이 기대됩니다. 하지만 원자재(후판) 가격 상승과 자재공급 부족등으로 가동률이 하락하고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우려됩니다.
5. 유통 (도소매)
민간소비 회복으로 업황 개선
위드 코로나로 민간소비가 점진적으로 회복되며 백화점, 대형마트 등 업황이 개선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물가 상승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우려, 대면, 비대면 채널 간 융합과 경쟁 등 불확실성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됩니다.